전기배선작업시 전선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체크해야 하는 것은 허용전류값 입니다. 허용전류값을 구해 그 값보다 높은 전선을 선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전선용량이 적절하지 않으면 전선이 과부하가 되어 전선의 열적경화 현상에 의해 발열로 화재가 발생하게 됩니다. 많은 화재가 전기케이블의 합선으로 일어납니다.
전선의 허용전류 계산방법 및 전선의 선정에 대한 요령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선의 허용전류는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
이것은 KS C IEC 60364-5-52의 523 및 부속서 " 허용전류"의 내용과 같이 매우 많은 조건들이 있으며 본문의 해석에 따라 여러사황(사용기기,온도,포설방식등)이 나타날 수 있고 현장 마다의 많은 상황이 엔지니어의 판단에 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허용전류를 계산 한 후 전선의 종류에 따른 선정을 하시면 됩니다.
전선의 허용전류 계산방법 및 전선의 선정에 대한 요령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허용전류 계산방법>
- 단상 2선식인 경우 : e = 35.6*L*1/1000*A
- 3상 3선식의 경우 : e = 30.8*L*1/1000*A
- 3상4선식, 단상3선식의 경우 : e = 17.8*L*1/1000*A
HIV 전선의 허용전류[A]
CV 전선의 허용전류[A]
FR-8 전선의 허용전류[A]
이것은 KS C IEC 60364-5-52의 523 및 부속서 " 허용전류"의 내용과 같이 매우 많은 조건들이 있으며 본문의 해석에 따라 여러사황(사용기기,온도,포설방식등)이 나타날 수 있고 현장 마다의 많은 상황이 엔지니어의 판단에 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허용전류를 계산 한 후 전선의 종류에 따른 선정을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63운영팀 조현수 대리입니다. 빌딩에 관련된 전기와 통신설비 운영이 제 업무입니다. 블로그에서는 빌딩에 꼭 필요한 전기, 통신시설 운영 및 사고 시 대처 요령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
매입하고 노출로 했을때 허용전류가 차이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매입인 경우 주의온도 노출보다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 : 이것은 KS C IEC 60364-5-52의 523 및 부속서 " 허용전류"의 내용과 같이 매우 많은 조건들이 있으며 본문의 해석에 따라 여러상황(사용기기,온도,포설방식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표안에 글씨가 넘 작아 안보여요.
표를 한 번 더 누르면 크게 보이실 거여요.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포켓 속에 넣고 다니면서 유용하게 써야겠습니다^^
마지막 표안에 FR-8 전선의 허용전류[A] 글이 안보이네요ㅠㅠ
표를 한 번 더 누르시면 글자가 크게 보일거예요. 오른쪽 마우스 클릭해서 다른 이름 사진 저장 하신 후 프린트 하셔도 도움이 되실듯요. ^^
전선길이L과 선길이l이 의미하는 것은 뭐죠? 그리고 전선의 굵기는 제곱미리미터인가요?
L은 전선1본의 길이[m], I는 허용전류[A], 전선의 굵기는 제곱미리미터가 맞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공식과 표의 관계가 없어서 이해가 안됩니다.
220볼트 단상 단면적 1 길이 1000 이면 35.6 볼트의 전압강하라고 나오는데...
권고하는 전압강하 값은 얼마이며 어떻게 결정되나요?
그리고, 전압강하는 부하에 따라 다를텐데, 이 전압강하식은 부하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내부부하 등의 등가회로가 있어야 평가 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