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의 ' 가을시작 냉방끝 냉동기 정비시기는 언제가 좋을까? ' 에서 터보냉동기(Turbo Refrigerating Machine)의 오버홀(Overhaul)을 해야 할 적당한 시기를 알고, 그시기가 다가왔다면 오버홀을 시행하게 된다는 말씀을 드렸었어요.
전 편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오버홀의 시기는 초기고장기, 안정기, 마모고장기 중 경년변화(Aging , 經年變化)에 의한 마모고장기에 접어들기 전에 시행하는 것과 메이커사의 교환기준으로 판단 시행한다. 로 요약할 수 있겠네요.(클릭→' 가을시작 냉방끝 냉동기 정비시기는 언제가 좋을까? ')
압축기 오버홀(Compressor Overhaul)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압축기 오버홀의 진행과정을 잘 알아두고 빠짐없이 정비해야 다가오는 냉방시즌을 무리 없이 보낼 것 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압축기 오버홀 진행과정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압축기의 구성품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봐야겠죠?
63 빌딩의 터보냉동기의 경우 트레인 회사의 장비임으로 부득이하게 트레인 터보냉동기의 사진으로 설명 드리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 터보냉동기 압축기 (Turbo Refrigerating Machine Compressor) -
1단 vane (가이드베인, guide vane) 1단 impeller
2단 vane 2단 impeller
아마추어라 불리는 회전자(rotor)와 전, 후단 볼 베어링(ball bearing)
저널베어링(journal bearing)
구성품은 위와 같이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을 분해정비하고 회전자(rotor, 아마추어), 각종 패킹류 등을 교체하고 정비하는 것이 압축기 오버홀(Compressor Overhaul)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진행과정을 조립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널베어링, 퍼지밸브류, 엔드 볼베어링) | |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킨 회전자(rotor, 아마추어) |
|
Tip!
제조사인 트레인의 경우 소요동력의 감소를 위하여 회전자의 재질을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국산메이커 냉동기의 경우 구리 재질의 아마추어를 사용하여 무게의 차이로 인해 전기사용량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조사인 트레인의 경우 소요동력의 감소를 위하여 회전자의 재질을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국산메이커 냉동기의 경우 구리 재질의 아마추어를 사용하여 무게의 차이로 인해 전기사용량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조립을 시작합니다~ ^^*
|
|
|
후 샤프트 동심도 측정 |
|
* 여기서 잠깐^^!
여기까지는 그냥 부착하면 됐지만 이제부터는 조립과정이 까다롭습니다^^*
그 이유는 밸런스 때문이죠. 밸런스를 맞춰가면서 조립을 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기부터의 공정은 다년간의 숙련공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만약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임펠라에 의해 압축기 파손사고로 이어 질 수 있으니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주의하세요 ^^*
그러므로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맞을 때까지 똑같은 공정을 반복해서 밸런스를 꼭 잡아가며 진행해주세요^^*
여기까지는 그냥 부착하면 됐지만 이제부터는 조립과정이 까다롭습니다^^*
그 이유는 밸런스 때문이죠. 밸런스를 맞춰가면서 조립을 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기부터의 공정은 다년간의 숙련공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만약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임펠라에 의해 압축기 파손사고로 이어 질 수 있으니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주의하세요 ^^*
그러므로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맞을 때까지 똑같은 공정을 반복해서 밸런스를 꼭 잡아가며 진행해주세요^^*
|
라빈린스
베인과 임펠라의 칸막이 역할을 하는 곳으로써 베인과 임펠라 사이의 냉매가스의 경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베인과 임펠라의 칸막이 역할을 하는 곳으로써 베인과 임펠라 사이의 냉매가스의 경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
|
|
|
|
여기까지 압축기 정비 및 조립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누설테스트를 해야겠지요^^*
|
누설테스트를 위해 질소를 주입하고 일정압력으로 24시간 방치했을 때 압력이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질소를 퍼지 후 진공작업에 들어갑니다.
진공작업 후 24시간 방치 후에도 진공도 유지 시 냉매를 주입하고 시운전을 하면 압축기 오버홀 공사는 끝이 납니다.
여기까지 압축기 오버홀 진행과정을 알아봤습니다. 추후 오버홀 공사를 진행 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사진출처 : 한화63시티
관련 글
흡수식 냉동기의 원리와 효율적인 운영방안(1)
흡수식 냉동기의 원리와 효율적인 운영방안(2)
보일러 종류별 특징과 가동효율 높이는 법
전동기 제어방식의 대세, 인버터의 장점과 운전법
가을시작 냉방 끝! 냉동기 정비시기는 언제가 좋을까?
흡수식 냉동기의 원리와 효율적인 운영방안(1)
흡수식 냉동기의 원리와 효율적인 운영방안(2)
보일러 종류별 특징과 가동효율 높이는 법
전동기 제어방식의 대세, 인버터의 장점과 운전법
가을시작 냉방 끝! 냉동기 정비시기는 언제가 좋을까?
안녕하세요!
63운영팀에서 기계설비분야 업무를 담당하고있는 강대진 사원입니다. 블로그를 통해 냉·난방 설비의 효율적 운영, 관리방법과 에너지 절약에 대해서 현장에서의 기계 관련 지식 및 정보를 함께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또한, 기능장 자격 보유자로서 관련 정보도 공유했으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