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설관리/설비 운영

왜 지역마다 라디오 주파수가 다른걸까?

안녕하세요! 에스엔에스 융합보안팀 장재원 대리 입니다.

지난 시간에 알려드린 주파수 관련 이야기는 흥미롭게 읽으셨나요?^^ 이번 시간에는 우리 주변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무전기 주파수(Frequency)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시대가 변하고 과학이 발달하면서 무전기 성능도 나날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작게는 가정용에서부터 보안용, 산업용, 공공기관용, 군부대용 등 그 종류도 무궁 무진 합니다. 성능 또한 천자만별 하고 가격도 정말 상이한 것 같습니다.

이렇듯 무전기 마다 쓰임새는 다르지만 생활무전기를 제외하고는 한국방송통신위원회 산하 중앙전파관리소에 무선국 개설 신고를 하여 주파수 할당을 받아야만 법적 불이익을 받지 않습니다. 만약, 무선국 신고를 하지 않고 사용하다 적발되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게 됩니다. (전파법 제 84조)

자세한 사항은 중앙전파관리소 (www.crmo.go.kr) 사이트에 접속하여 행정정보 → 전파관리 → 올바른 전파의사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우리 주변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종류별 무전기 주파수 및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유형별 무전(무선국)기 특징(크게 하면 잘 보여요)


주파수대역(밴드)별 더 많은 항목들이 있지만 우리 주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목들만 간추려 보았습니다. 위(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무전기도 사용 목적에 따라 주파수 대역이 다르고 관련 규정도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사항 입니다.

Q 라디오 주파수나 TV방송 채널은 왜 지역마다 다를까요?

A 우리가 보통 서울에서 지방에 내려갈 때 차 안에서 라디오를 듣게 되는데요,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이정표에 주파수 숫자가 나와있는 걸 본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게 바로 그 지역의 방송 주파수 인데요 예를 들어 같은 KBS라디오 방송이라도 서울은 89.1MHz 를 사용하지만 대전은 98.5MHz, 광주는 92.3MHz, 부산은 92.7MHz 제주는 96.3MHz 를 사용합니다.

TV방송도 마찬가지 입니다. 지역마다 채널이 다르게 나옵니다. 이렇듯 지역마다 방송 주파수가 다른 이유는 바로 그 지역에 광고 때문이지요. 라디오를 듣다 보면 중간중간 광고가 나옵니다. 지역마다 광고를 내보내기 때문에 다른 거지요~ 만약 부산에서 광고를 내보내는데 그 광고가 서울에도 똑같이 나온다면 광고 의미가 없겠죠? 그리고 TV방송 주파수는 세기가 강하기 때문 즉, 직진성 이 강해서 중간에 있는 고층빌딩이나 산에 의해서 전파가 막혀버립니다. 이것이 중계소를 설치하는 이유 중 하나 입니다. 주파수가 중계기를 지날 때 마다 주파수가 변경 되면서 방송 주파수(채널)도 조금씩 변경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지역별 라디오 주파수 [표준FM(MHz)]

       

KBS라디오

(음악방송)

MBC라디오

(음악방송)

SBS라디오

(지역방송)

EBS라디오

교통방송

종교방송

(표준/음악)

서울, 경기

93.1
(
1FM)

89.1
(
2FM)

95.9

SBS 103.5(러브)

107.7
(
파워)

104.5

95.1(서울)

98.1 / 93.9
(
기독교)

101.9(불교)

대전

98.5

92.5 / 91.3

CJB청주101.5

105.7 / 107.9

102.9

91.7(기독교)

96.7
(
청주 불교)

대구

89.7

96.5

TBC 99.3(파워)

105.1

103.9

103.1(기독교)

94.5(불교)

광주

92.3

93.9

KBC 107.7(파워)

105.3

97.3

103.1(기독교)

89.7(불교)

울산

101.9

97.5

UBC 107.7
(
파워)

105.9

100.5(인천)

100.3(기독교)

105.3(불교)

부산

92.7

95.9 / 106.5

KNN 99.9(파워)

107.7

94.9

102.9 / 102.1(기독교)

89.9(불교)

제주

96.3 / 99.9

97.9 / 97.1

JIBS 101.5(제주)

98.5
(
서귀포)

107.3
(
제주)

104.9
(
서귀포)

105.9(강원)

93.3
(
제주)/90.9
(
서귀포)


이 외에도 지역별 AM / FM 방송 주파수는 상당히 많은데요 그 중에 잘 알려진 지역별 라디오 방송(지역별)주파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지역별 TV방송 주파수도 확인해보겠습니다.

라디오 주파수 와는 별도로 TV방송 채널은 각 채널마다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있고 그 주파수 대역에는 영상 주파수 와 음성 주파수로 나뉘어져 전송이 됩니다. 즉, MBC TV방송 주파수가 198~204MHz 대역이면 영상주파수는 199.25MHz이고 음성주파수는 203.75MHz 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지역별 방송 채널이 틀린 것은 위에서 말씀 드린 바와 같이 지역별로 중계소 위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OSC-5000)이라는 도청, 몰•카 탐색기로 방송주파수를 확인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TV방송 영상이 나오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음성이 나오질 않습니다. 반대로 음성이 나오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영상이 나오질 않습니다. 영상과 음성의 주파수 대역 차이는 약 3~4MHz 차이가 나기 때문 입니다.

이 외에도 VHF, UHF, DMB., 교통방송, 등 다양 한 TV방송 채널 편성이 되어 있지만, 분량이 많아 그 중에서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TV방송 채널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위의 표에 나와 있는 것처럼 지역마다 주파수가 틀리게 분포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듯이 여러분들도 타 지역에 가셔서 내가 알고 있는 주파수 또는 채널에 라디오나 TV가 안 나온다고 하시는 일은 없겠죠^^

이번에도 주파수에 관련된 내용으로 포스팅을 꾸려보았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 댓글달아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사진 및 자료 출처: 한화63시티, 플리커(philedmonds)


장재원
 | SnS 시스템영업팀 대리
안녕하세요! SNS 시스템영업팀 장재원 대리입니다.
저는 한화그룹 통신보안인프라 구축관련 불법감청 탐색 및 설치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업무내용 외에도 좋은 정보가 있으면 공유하겠습니다.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