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빌딩 관리

말 없이 끊어버리는 전화를 조심하라! 휴대전화 감청의 진실

안녕하세요! 에스엔에스 시스템영업팀 장재원 대리 입니다. 아침에 출근하다 보면 전과 다르게 얼굴에 와 닿는 바람이 따뜻하게 느껴집니다. 어느덧 초여름이 성큼 우리들 앞에 와 있는 것 같아 발걸음이 가벼워 집니다. 오늘은 우리 주변의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불법감청의 오해와 진실에 대해 여러분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Q. 주변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전화도청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휴대전화 감청도(클릭하시면 크게 보여요)


A. 위에 보시는 그림은 휴대전화 감청 개념도 입니다. 제가 불법감청설비 탐색사 교육을 받을 때 공부하였던 내용 중에 하나인데요. 무선전화, 특히 휴대폰에 관한 도청은 일반인들은 실행하기 어려운 도청 방법입니다.
그 이유는 첫째, 그림에서도 보시는 것처럼 감청을 할 수 있는 고가장비가 설치 되어있는 차량이 있어야 하고, 혼자서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똑같이 움직여야 하며 감청 대상자와의 거리도 200m 내에 있어야 실질적인 감청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그림에서처럼 휴대폰에 감청 범위가 120°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므로 일반인들은 이러한 휴대폰 감청 은 어렵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가능하다고 하여도 비용이 상당부분 차지할 테니 현재로서는 국가기관에서나 가능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이런 개념도도 휴대폰 사용자가 비화기 (휴대폰 도청방지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면 도청은 그리 쉽게 이루어 지지 않을 것 입니다.

Tip! 말 없이 끊어버리는 전화를 조심하세요!


우리는 보통 전화가 통화를 하고 있을 경우에만 도청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생각과는 반대로 전화벨이 울려 전화 수화기를 들고 전화를 받았을 때 잘못 걸린 전화가 오거나 상대방이 말이 없을 경우에는 전화를 바로 끊는 경우가 대부분일 겁니다. 이런 허점을 노리고 상대방 보다 수화기를 먼저 내려 놓는 순간부터 도청이 이루어지는 도청장치도 있다는 것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전화 예절교육 내용 중 상대방이 전화를 끊는 것을 확인 후 전화를 끊는 교육을 받습니다. 이런 습관을 들이면 도청 당할 리는 없겠죠 ^^*)

유선전화 도청기

전화기 내장형 도청기


전화도청은 말 그대로 전화 유선선로에 도청기를 연결하는 (유선도청) 및 전화기내부, 소켓 등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무선도청)이 있습니다. 유선도청은 유선선로에 다른 선로를 연결하여 엿듣는 방법이고, 무선전화도청은 보편적으로 전화기, 전화선, 전화 단자함 등에 직•병렬식으로 연결 하여 설치합니다. 중요한 것은 설치 기수리 없어도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고, 설치시간도 10초에서 30초면 충분합니다. 유선도청기는 전화라인의 전압을 공급받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무선도청기는 유선도청기와는 달리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도청이 어렵다는 것이 단점 입니다.

하지만 도청자가 중요회의 내용이나 통화내용을 목적으로 한다면 한 시간 아니 단 10분 만 도청이 되어도 도청자가 얻고자 하는 내용을 충분히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기업들의 물리적 보안 융합보안 등 기업보안이 강화되면서 유선도청은 점차 사라져 지금은 거의 사용을 안하고 있습 니다. 대신 무선 기술의 발달로 각종 수많은 무선 도청기들이 만들어 졌으며 그 크기도 점차 작아져 쌀알보다도 작은 도청기도 발견이 되어 충격을 주고 있으며 크기는 작아지면서 도청 할 수 있는 거리나 음성 수신율은 나날이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Q. 도청을 하기 위해서는 특정 주파수를 사용 한다고 들었습니다. 혹시 다른 주파수로도 도청이 가능 한가요? 과거 사용 되었던 도청 주파수와 현재 사용중인 도청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알려 주세요.

A. 그림표와 같이 도청주파수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사용되고 있지만 도청기 종류, 특성에 따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를 변조하여 사용하는 경 우도 있습니다. 또는 주파수를 2개를 이용하여 하나의 주파수에는 허위 도청 주파수를 내보내고 다른 주파수에는 실제로 도청하는 주파수를 사용하여 탐색자로 하여금 혼돈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도청장치를 쉽게 찾지 못하도록 하는 도청기도 있습니다.

주파수표를 보시는 것처럼 주파수분배표는 시간이 지나면 주기적으로 새로운 주파수가 할당이 되고 그 주파수가 할당이 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주파수는 삭제되거나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할당되어 집니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민국 주파수분배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도청주파수는 그림표와 같이 399MHz대역이 가장 보편화 되어 있으며 도청기마다 고유의 주파수가 설정이 되어 있지만 일 반적으로 주파수분배표에 있는 주파수들도 언제든지 도청주파수로 변조되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여야 할 것 입니다.

<불법 도청 주파수 및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 밴드>

 과거 도청기 주파수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 밴드 명

139.9400MHz(A타입)

지역별 업무용 주파수

139.9700 MHz(C타입)

지역별 업무용 주파수

140.0000 MHz(B타입)

지역별 업무용 주파수

143.8500 MHz(4타입)

지역별 업무용 주파수

143.8800 MHz(5타입)

지역별 업무용 주파수

143.9100 MHz(1타입)

지역별 업무용 주파수

143.9400 MHz(2타입)

지역별 업무용 주파수

143.9700 MHz(3타입)

지역별 업무용 주파수

389.6050 MHz(A타입)

주파수 공용통신 TRS(기지국 송신)

 

399.4550 MHz(B타입)

도청주파수(B타입/일반형)

400.0000 MHz(C타입)

주파수 공용 통신

406.5200 MHz(P타입)

주파수 공용 통신

407.2100 MHz(Q타입)

주파수 공용 통신

444.1150 MHz(X타입)

주파수 공용 통신

444.8850 MHz(Y타입)

주파수 공용 통신

445.6650 MHz(Z타입)

주파수 공용 통신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 밴드>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 시간에도 불법감청 사례에 대한 이야기로 다시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통신보안은 다른 사람이 아닌 나로부터 시작 된다는 점 꼭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

사진 및 자료 출처 : 한화63시티, 플리커(ChrisGoldNY)


장재원
 | SnS 시스템영업팀 대리
안녕하세요! SNS 시스템영업팀 장재원 대리입니다.
저는 한화그룹 통신보안인프라 구축관련 불법감청 탐색 및 설치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업무내용 외에도 좋은 정보가 있으면 공유하겠습니다.
반갑습니다.